티스토리 뷰
React
누구든지 하는 리액트
컴포넌트...함수 vs 클래스
함수형에는 state, lifecycle이 빠져있다.
언제 사용해야하나...?
함수형은 초기 마운트 속도가 미세하게 빠르고 불필요한 기능이 없다.
단순히 어떤 값을 받아와서 보여주기만 하는 경우에는 함수형 컴포넌트를 만들자.
성능적으로 큰 차이는 없지만 만드는게 조금 더 간단하다는 점.
defaultProps
부모 컴포넌트에서 값을 안받을 때 사용할 기본값을 설정할 때 사용.
클래스로 선언할 경우 static defaultProps를 안에 선언해주고
this.props.name 쓰면 된다.
함수형인 경우, FuncName.defaultProps = {} 를 밖에 선언해주면 된다.
props, state
props는 부모로 부터 전달받은 값, 읽기 전용
state는 내가 가지고 있는 값, 변경 가능
Lifecycle API
- constructor 호출
super(props)
- static getDrivedStateFromProps()
렌더링이 일어날 때 마다 호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componentDidMount() 호출
- shouldComponentUpdate() : 업데이트를 하거나 막거나 통제할 수 있음. true 또는 false 반환.
반응형
'활동 > 교육과정 중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315 Spring Boot (0) | 2020.03.15 |
---|---|
200314 Spring Boot (0) | 2020.03.14 |
200207 React (0) | 2020.02.07 |
200206 React (0) | 2020.02.06 |
200205 React, JavaScript (0) | 2020.02.05 |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패스트캠퍼스 #프로그래밍대학생서포터즈 #올인원패키지 #컴퓨터공학 #성공하는프로그래밍공부법
- Fast Campus
- 개발자 취업
- 올인원 패키지
- 컴퓨터공학
- 코딩 면접
- c언어
- 운영체제
- 프로그래밍 온라인 강의
- 자료구조
- 패스트캠퍼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